배열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 그렇기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많은 변수가 필요하다. 

변수가 많아질수록 코드는 복잡해진다. 그렇기에 같은 타입의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 배열을 사용한다.


간단한 예제를 살펴보겠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ublic class add1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int[] arr=new int[3];
        
        for(i=0;i<arr.length;i++)
        {
            arr[i]=i;
            System.out.println(arr[i]);
        }
    }
}
 
cs


위의 코드를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0

 1

 2


모양으로 있다. arr 이라는 배열에 int 형식으로 3개의 공간을 만들어주었다. 

그뒤에 for문을 사용하여 arr의 0번째 자리부터 2번째 자리까지 i의 값을 넣어주고 출력을 했다.


결과를 보면 0 1 2가 출력이 된것을 볼 수 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기초공부하기  (0) 2018.11.13
[JAVA]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  (0) 2018.11.10
자바 ,JDK 설치 및 환경변수설정  (0) 2018.09.11

JAVA 계산기 코드


가장 기초적인 연산자, while문, switch문을 사용하여 계산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add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int num2;
        String op;
        char num='y';
        
        Scanner sc=new Scanner(System.in);
        
        while(num=='Y' || num=='y')
        {
            System.out.println("정수 :\n");
            num1=sc.nextInt();
            System.out.println("연산자 :\n");
            op=sc.next();
            System.out.println("정수 :\n");
            num2=sc.nextInt();
            
            switch (op) {
            case "+":
                System.out.println(num1+num2);
                break;
            case "-":
                System.out.println(num1-num2);
                break;
            case "*":
                System.out.println(num1*num2);
                break;
            case "/":
                System.out.println(num1/num2);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연산자 잘못 입력");
                break;
            }
            
            System.out.println("계속?y/Y");
            num=sc.next().charAt(0);
            
            
        }
    }
 
}
 
cs


코드설명


입력받기 위해서  Scanner를 import하였고, 정수는 int 형으로, 연산자는 String형으로 , 그리고 char형으로 하나 만들었습니다.

while문을 이용하여 반복을 하였고, 맨처음에 num을 y로 초기화 시켜 돌아가게 만들었습니다.

정수와 연산자를 입력받고, switch문을 사용하여 연산자에 따라 달라지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계속할껀지 물어보고 y나Y 이외의 문자가 오면 멈추게 했습니다.



배열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배열  (0) 2018.11.13
[JAVA]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  (0) 2018.11.10
자바 ,JDK 설치 및 환경변수설정  (0) 2018.09.11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서로 묶어서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만들어 내는것




INNER JOIN

-join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조건이 일치하는 값이 두 테이블에 모두 존재할 때 결과값이 나온다.


형식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1 INNER JOIN 테이블명2 ON 조인조건 WHERE 검색조건




일단 테이블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create table b1(
id varchar(20PRIMARY KEY,
name varchar(20),
addr varchar(20),
age varchar(20));
 
INSERT INTO b1 VALUES('je','재은','울산',21);
INSERT INTO b1 VALUES('yj','유진','부산',21);
INSERT INTO b1 VALUES('sh','서현','부산',23);
INSERT INTO b1 VALUES('sy','승연','대전',23);
INSERT INTO b1 VALUES('jy','종원','경주',25);
INSERT INTO b1 VALUES('hi','홍일','부산',25);
INSERT INTO b1 VALUES('jh','재홍','부산',24);
 
create table b2(
num varchar(20primary key,
id varchar(20),
item varchar(20),
price varchar(20)); 
 
insert into b2 values(1,'je','책',5000);
insert into b2 values(2,'yj','키보드',15000);
insert into b2 values(3,'sy','코트',50000);
insert into b2 values(4,'sh','운동화',10000);
insert into b2 values(5,'jy','음료수',3000);
insert into b2 values(6,'hi','책',6000);
insert into b2 values(7,'jh','스킨',30000);
insert into b2 values(8,'yj','맨투맨',18000);
insert into b2 values(9,'sy','맨투맨',15000);
insert into b2 values(10,'sh','책',12000);
insert into b2 values(11,'je','운동화',22000);
insert into b2 values(12,'yj','책',2000);
cs



그럼 JOIN을 해보겠습니다.

1
2
3
select * from b1
inner join b2
on b1.id=b2.id;
cs


두 테이블이 결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